목록맥 팁들 (20)
맥에서 오픈소스로

import osimport sysimport subprocessimport shutilimport tempfilefrom PyQt5.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MainWindow, QLabel, QPushButton, QVBoxLayout, QHBoxLayout, QWidget, QFileDialog, QMessageBox, QProgressDialog, QInputDialog, QLineEdit)from PyQt5.QtCore import Qt, QUrl, pyqtSignal, QThreadfrom PyQt5.QtGui import QPixmap, QDragEnterEv..

import osimport sysimport requestsimport tarfileimport zipfileimport tkinter as tkfrom tkinter import ttk, filedialogfrom tqdm import tqdmimport threadingimport shutilimport timefrom io import BytesIOclass DatasetDownloader: def __init__(self, root): self.root = root self.root.title("데이터셋 다운로더") self.root.geometry("500x450") # 높이를 조금 늘림 self.root.resizable(False, ..

- 부팅이 안되고 켜면 주황색 LED 불빛만 깜박깜박 거리던 벽돌상태였던 맥미니를 되살렸습니다.- 부팅시 시동키인 cmd+alt+R 를 눌러도 안되고, cmd+alt+P+R로 부트롬 재설정도 안되고, 전원길게 누르기로 옵션 모드도 안되고- 오에스 설치 USB늘 넣고 재설치를 하려고 해도 펌웨어가 안뜨고 .. - DFU 모드(주황색 점등) 에 USB-C 케이블을 도우미맥에 연결해 Apple Configurator 로 되살리기를 해도 안되서 - 그래서 하마터면 애플 AS센터로 갈뻔한 녀석을 마지막으로 되살리기 메뉴 밑에 "모든 콘텐츠 지우고 재설치" 메뉴를 누르니 아주 천천히 복원이 되더라구요~- 그렇게 결국 맥미니는 일주일 만에 멀쩡하게 살아났습니다~- 주의할 점은 USB-C 케이블을 애플이 제공하는 케..

$ touch ./*- 맥오에스에서 터미널을 사용하여 현재 폴더 내의 모든 파일(특히 이미지 파일)의 크기 정보를 갱신하려면, Get Info를 강제로 갱신할 수 있는 명령어는 없지만, 파일 시스템의 메타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Finder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다시 읽어들이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touch 명령어는 모든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갱신합니다. 이는 Finder가 파일 정보를 갱신하게 만드는 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는 파일 크기 정보를 직접적으로 강제 갱신하지는 않습니다. Finder에서 파일 크기를 정확하게 갱신하려면, 파일을 선택하고 Command + I (정보 보기)를 통해 수동으로 갱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일반적인 ColorPicker 의 Hue 범위는 0~360도 int 로 주어지나, OpenCV의 Hue 대역은 0~180 int 값만 가질수 있습니다.- 아마도 uint8 자료형 내에서 모든 Hue 를 표현하려고 한거 같습니다.- 그리고 Saturation과 Value 값도 OpenCV에선 0~255범위를 가지지만 일반적인 ColorPicker 에선 0~100 으로 표현합니다. - 혼동없이 컨버팅해서 바꿔주어야 하는데, 이게 아주 번거롭네요.- 혹시, HSV 를 opencv 값 그대로 ([0, 180], [0, 255], [0, 255]) 범위로 표출해주는 Color Picker 앱은 없을까요?

- 맥이나 리눅스용 터미널엔 mc 라고 부르는 오래된 CLI 앱이 있습니다.- 터미널용 유틸리티를 앱이라고 부른게 약간 이상하긴 하지만 그래도 CLI(command line interface)에도 엄연히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공간이므로 앱이라고 부르기로 합시다~- 여하튼 mc를 실행하면 터미널 창에 좌우로 패널이 두개나 보이면서 좌측과 우측에 같은 컴퓨터의 파일시스템이 보여지게 됩니다.- 그때 우측 패널을 키보드로 경로를 조작해가면서 컴퓨터 내의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 삭제, 이동, 생성 등을 하면서 파일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편하게 관리하는게 가능하지요.- 놀라운건 ssh 프로토콜로 맥이나 리눅스 서버와도 파일 이나 폴더의 복사가 가능하다느 것! - 우측 메뉴에서 ssh 파일서버 메뉴를 누르고 아이피번호 등..

- 위 스크린샷들은 맥오에스 터미널에서 리눅스 서버에 ssh로 접속하여 실행한 GUI앱들입니다.- 각각의 앱을 실행한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xlogo$ xeyes$ xclock$ gimp- 이렇게 다른 운영체계 에서도 리죽스 서버의 GUI 앱을 실행하는게 가능한데 그걸 가능하게 하려면 2가지 준비가 필요합니다.- 첫번째는 맥터미널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때 $ ssh -Y id@192.168.0.10 처럼 -Y 옵션을 붙여서 로그인합니다.- 두번째는 맥오에스에 Xquartz 라는 걸 설치해야 합니다. https://www.xquartz.org/ 로 접속하여 dmg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맥을 한번 로그아웃 한후 재로그인 하면 끝입니다.- 그러면 ssh 로 로그인된 터미널에서 리눅스 서버의 G..

$ for fn in *.png; do convert -morphology Erode Octagon "${fn}" +write e_"${fn}"; done; tput bel- 현재 폴더 안에 있는 모든 png 이미지를 갉아먹기(Erode) 연산하는 명령어 입니다. 그리고 파일명 앞에 "e_"라는 접두어를 붙어서 저장하게 합니다.- 그러면 기존의 이미지는 그대로 남고 갉아먹은 이미지가 만들어져 추가로 저장이 되겠죠.- morphology Erode Octangon 이라는 옵션은, 우선 모폴로지 연산(형태를 바꾸는 연산)을 한다는 의미고요 .. 그중에서도 갉아먹기 연산을 한다는 뜻입니다. 형태적 연산은 그빆에도 Dilate, Erode, Thinning, Skelotonize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리고..

$ mogrify -scale 25% *.png- 현재 폴더 내의 모든 png 파일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1/4로 줄이는 터미널 명령어 입니다.$ mogrify -resize 640x480! *.png- 이건 현재 폴더내 모든 png 파일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강제로 640x480으로 리사이징 하는 명령어 이고요.- 이 처럼 imagemagick만 있으면 터미널에서 거의 모든 영상처리가 한줄 명령어 만으로 가능합니다. 물론 오픈소스라 무료이구요~- 맥에는 팝업메뉴에 폴더를 "복제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미리 복제해 놓고 복사본에 대해서 저런 처리를 하세요.오리지널 보존을 위해 그런 습관이 중요합니다.- 맥에서 imagemagick 도구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rew install imag..